금융공학의 본질이 인문사회과학이지만 분석도구로 수학, 통계학,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을 많이 사용하는 탓에 금융공학 분야에서 제대로 된 역할을 하기 위해 이런 분야의 지식 습득을 게을리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이런 도구들을 어떤 시각에서 이해해야 하는지가 대단히 중요한데, 많은 사람들이 이 부분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좀 오래된 일이지만 입사면접 당시에 있었던 일화를 하나 소개하겠습니다. 박사학위를 받고 두 번째 직장으로 기업신용평가를 전문으로 하는 회사에 입사지원을 하여 면접을 보러 갔습니다. 그 당시 기업신용평가는 회계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재무건전성을 판단하여 신용등급을 판정하는 전통적인 기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면접을 담당한 한 임원 분이 회계사 자격증도 없고 회계전공자도 아닌 사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