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공학 2

금융공학 입문 방법에 대한 단상 斷想 2

금융공학의 본질이 인문사회과학이지만 분석도구로 수학, 통계학, 컴퓨터 프로그래밍 등을 많이 사용하는 탓에 금융공학 분야에서 제대로 된 역할을 하기 위해 이런 분야의 지식 습득을 게을리할 수 없습니다. 그런데, 이런 도구들을 어떤 시각에서 이해해야 하는지가 대단히 중요한데, 많은 사람들이 이 부분을 간과하고 있습니다. 좀 오래된 일이지만 입사면접 당시에 있었던 일화를 하나 소개하겠습니다. 박사학위를 받고 두 번째 직장으로 기업신용평가를 전문으로 하는 회사에 입사지원을 하여 면접을 보러 갔습니다. 그 당시 기업신용평가는 회계자료 분석을 중심으로 재무건전성을 판단하여 신용등급을 판정하는 전통적인 기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면접을 담당한 한 임원 분이 회계사 자격증도 없고 회계전공자도 아닌 사람..

금융공학 입문 방법에 대한 단상 斷想 1

2008년 콴트글로벌이라는 금융공학 온라인 교육 사이트를 개설한 이후 직간접적으로 가장 많이 받은 질문 중 하나가 “금융공학에 입문하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입니다. 잘 아시다시피 금융공학 자체가 신생학문이고 금융수학 등 여러 분야가 합쳐져서 만들어진 융복합 학문이라 이 질문에 대해 정답을 말하기가 여간 힘든 게 아닙니다. 그러나, 어떤 게 오답인지는 비교적 쉽게 가려낼 수 있습니다. 콴트글로벌 홈페이지, 금융공학과 금융수학의 모든 것이 공유되는 홈페이지입니다. 대학원에 진학해서 금융공학을 전공하고 싶다며 상담을 요청한 학생 사례를 하나 소개하겠습니다. 학부에서 경제학을 전공해서 부족한 금융수학 등 이공계열 배경을 보충하기 위해 여기저기 알아보니 이 분야는 물리학 전공자들이 주로 진출하는 이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