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경제 3

[칼럼]한국경제가 일본식 장기 불황이 될 수 없는 이유

[칼럼니스트 'BWithU'] 1. 한국 경제와 일본 경제의 평행이론? 많은 사람들은 말한다. 세상에 똑같은 인생을 사는 사람은 없다고. 하지만 우리의 인생은 마치 바둑 기사가 대국을 마친 후 복기를 하듯이 누군가의 인생을 복기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정말 우리의 인생과 역사가 바둑 기사가 복기를 하는 것과 같은 것이라면, 우리는 어디선가 겪은 듯하고 어디선가 본 듯한 현상 속에서 숨을 쉬고 있을 것이다. 그 현상의 또 다른 이름은 바로 ‘운명’이다. 운명. 정말 피할 수 없는 것일까? 다수의 사람은 바둑판 위에서 기사의 손 끝, 다른 말로 운명만을 기다리고 있는 바둑돌일 수 밖에 없다. 하지만 기사의 손 끝을 예측하고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바둑돌들이 존재한다면… 과연 그 대국은 기사의 의도대로 진행될..

국내 이슈 2013.05.27

"일본 경제, 최악에서 이제 벗어났다"

일본 경제가 지난 2012년 4분기 다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GDP가 0.2% 상승한 것. 이는 0.4% 하락할 것이라는 전문가의 예측이 완전히 벗어난 것이다. 미즈호 리서치 연구소 (Mizuho Research Institute) 야요수 야마모토 연구원은 “일본 경제는 바닥을 치고 지금 올라오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아마 지난 11월달이 일본 경제의 최저점이었을 것”이라며, 일본 경제가 지금 침체로부터 서서히 벗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 경제는 지난 10년간 ‘잃어버린 10년’이라는 장기적인 불황을 겪었으며, 지난 2012년 3분기에도 일본 GDP는 0.1% 하락했다. 하지만, 지금 일본 경제는 아베 신조 정부의 경기부양 정책에 힘입어 아주 긍정적이라고 일본리서치 연구소(Japan Rese..

해외 이슈 2013.03.10

일본 물가 상승률 3개월째 하락...아베노믹스 실패하나

일본의 1월 물가가 1년전보다 0.2%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의 아베 총리가 지난 12월 새로운 총리로 선출되면서 올해 물가 상승률 2%를 목표로 한다고 말해왔지만, 첫달부터 물가가 하락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본 외 국가들은 물가 상승률에 아주 민감하다. 우리나라만 보더라도 물가상승률이 높다고 하면 국민 경제에 부담이 된다고 하면서 꺼려하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일본은 다르다. 일본은 물가 상승이 이뤄줘야 경제 성장의 신호로 볼 수 있다. 현재 일본의 물가는 상승이 아니라 하락을 하고 있다. 즉, 점점 물건 혹은 서비스의 가격이 하락하는 것이다. 지난 10년간 ‘잃어버린 10년’이라는 장기적인 불황을 겪었던 일본 국민들은 이와 같은 사실을 잘 알고 있다. 따라서, 이들은 물건이나 서비스 값이..

해외 이슈 2013.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