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시장 4

[칼럼]주식투자 성공, 종목과 시장 분석보다 더 중요한 이것은?

[칼럼니스트 '에핑그린'] 나도 주식 시장에 참여해 항상 투자를 하고 있다. 대부분 장기로 보유하고 있지만, 가끔 시간날 때면 백만원 되지 않은 돈을 가지고 단기매매도 한다. 당연히 돈을 벌 때도 있지만, 잃는 날도 많다. 하다보면 느끼는 거지만, 도박에 중독되는 것처럼 단기매매는 약간 중독성도 있는 것 같다. 비록, 돈을 벌지 못하는 날이 많아도 주가의 등락에 따라 기뻤다 슬펐다 하는 것이 꼭 우리가 인생을 살아가는 것과 비슷하기 때문인 것 같다. 하지만, 이러한 심리에 좌지우지한다면 주식 시장에서 돈을 벌기 어렵다. 대부분의 개인투자자들이 오르면 더 오를 것 같고, 내리면 이제 오를 것 같은 심리로는 어림도 없는 것이다. 그렇다면, 주식 투자에 있어 어떤 투자 심리를 가져야 하는가. 전쟁터에 나갈 때..

국내 이슈 2013.05.07

[칼럼] 주식 시장에서 부익부 빈익빈이 생기는 이유

[칼럼니스트 '자유투자자'] 일반투자자들은 자금력의 열세 등으로 인하여 주로 주가가 낮은 속칭 잡주를 거래하는 경우가 많다. 자금이 많지 않아 고가주(블루칩) 거래를 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주에 1백만원인 주식이 있다면, 10주를 거래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천만원이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가 되고 또는 90만원이 있으면 해당 주식을 매수할 수 없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일반투자자들의 입장에서는 거래하기가 어렵다. 그런데, 시장상황을 보면 저가주들은 극소수를 제외하고는 거의 주가상승이 잘 나오지 않는다. 반면에 고가주인 블루칩들은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렇다 보니 시가총액식인 지수는 블루칩의 상승으로 지속적으로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런 현상이 지속되다보니 지금은 확실한 주가의 부..

국내 이슈 2013.04.02

[칼럼]주식 투자 성공을 위해 이론과 현실의 괴리를 파악하자

[칼럼니스트 '자유투자자'] 과학적인 이론이 되기 위해서는 이론과 실증이 필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현실에 제약을 가할 수 밖에 없다. 이헌령비헌령이 되어서는 안되기 때문이다. 경제학이나 경영학의 경우에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이론과 현실에는 항상 괴리(차이)가 발생하게 된다. 대표적인 것이 '합리적인 인간'이다. 이론에서는 현실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시장에 참가하는 사람들을 합리적인 인간으로 전제한다. 그런데, 이론서들은 이 부분에 대해 잘 언급을 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경제학이나 경영학을 전공으로 한 사람들은 대부분 이것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이 경제학이나 경영학을 전공했으면서도 " 그런 이야기는 처음이다. "라고 하시는 분들은 수업시간에 졸았거나 결석을 해서 모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반면에 ..

국내 이슈 2013.03.15

박근혜 대통령과 우리 나라 증시의 향방은?

(출처: 어섬페니스탁닷컴) 박근혜 대통령이 오늘(25일) 취임식을 갖는다. 새로운 대통령 시대의 시작이다. 대통령의 성향에 따라 주가의 흐름을 달라질 수 밖에 없다. 새로운 정책으로 인한 특정 산업 및 업종의 주가의 영향을 받는 것은 당연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새로운 대통령이 취임하면, 증시는 기대감에 상승하기 마련이다. 지난주에 코스피 지수가 2000을 넘은 것도 바로 이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기대감이 우려를 해소하는 형국인 것이다. 이런 기대감은 대통령 당선이 확정되면서 불거졌다. 박근혜 대통령은 '경제민주화'라는 단어를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심지어 5대 국정목표 및 국정자료집에서도 아예 배제되었다. 기업 규제 정책에 의지가 없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기업규제가 강화되지 않는다면, ..

국내 이슈 2013.0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