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이슈

[칼럼]상장폐지 피하려는 기업, 그것에 대처하는 투자자의 자세

스탁일보 2013. 4. 8. 08:34


[칼럼니스트 '자유투자자']


코스피도 그렇지만, 코스닥의 경우에도 일정조건을 만족시키지 못하면 관리종목이 되거나 상장폐지가 된다. 부실한 기업들을 퇴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부실한 기업들이 이를 피하기 위하여 꼼수를 부리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인 것이 2008년에 도입한 4년 연속 영업적자시 관리종목 편입, 5년 연속 적자시 상장폐지라는 기준이다. 기업들은 이를 피하기 위하여 4년차에 이런 저런 꼼수를 동원하여 일시적인 흑자를 내곤 한다. 일시적인 현상이다 보니 5년차에는 다시 적자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런 기업들은 기준을 만족시켰기 때문에 관리종목이나 상장폐지가 되지 않는다. 이것은 말 그대로 시간을 벌기 위함이며, 사실상 해당 기준을 무용지물로 만들고 있는 것과 다름없다. 


작년 코스닥에서는 최소 20개의 기업이 이런 꼼수를 동원하여 관리종목 지정을 피했다. 관리종목에 편입된 12개 기업의 대부분도 5년차에 꼼수를 부려 상장폐지의 위기에서 벗어났다. 2011년 일시적으로 영업이익을 기록했다가 작년에 다시 적자 전환한 기업은 전체 20개사(2011년 당시 영업이익과 순손실이었던 기업) 중 17개사나 되었다. 심지어 영업이익을 낸 상태에서 엔케이바이오, 큐리어스는 상장폐지되었고, 웍스글로벌은 상장폐지 절차를 밟고 있다. 올해에도 상황은 비슷할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꼼수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임원들의 임금을 일시적으로 대폭 줄이는 경우도 있고, 협력업체들의 도움을 일시적으로 받는 경우도 있으며, 주요기술을 매각하는 방법도 있다. 이외에도 일시적으로 영업외 수익을 늘리거나 비용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동원된다.


이와 같은 꼼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관련 규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일시적으로 한 번 흑자를 만들기는 쉽지만, 2년 이상 흑자를 만들기는 쉽지 않기 때문에 관련규정을 변경하는 것도 한 방법이라고 하겠다. 


이것이 문제가 되는 것은 이런 부실기업들의 꼼수로 인하여 전체 코스닥 기업들이 동시에 매도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꼼수에 당한 투자자들이 코스닥에 대한 신뢰를 잃어 버리게 되면 나머지 기업들도 덩달아 무형적인 피해를 당하게 되는 것이다. 신뢰란 것이 무너지기는 쉽지만, 다시 회복하기는 상당히 어렵다는 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이다.


그렇지 않아도 벤처붐 시기의 악몽으로 인하여 코스닥에 대한 신뢰성이 낮은 상황에서 이런 부실기업들이 그나마 있는 신뢰성을 갉아 먹어 버리면 코스닥시장은 성장할 기회를 잃어 버리는 것이나 다름없으며, 스스로 자멸하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주식 투자자, 일시적 수익인지 아닌지 판단을 해야


투자자들도 이런 턴어라운드 기업에 대한 투자시 유념을 할 필요가 있다. 무조건 정보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흑자로 전환하게 된 계기를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 계기가 일시적인 것인지 아니면 장기적인 것인지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특히 위에서 언급한 관리종목이나 상장폐지 요건을 피하려는 꼼수는 철저하게 조심할 필요가 있으며 종종 이런 기업들의 경우에는 작전에 휘말리는 경우도 있으므로 더 조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왠만하면 저가주에 대한 투자는 피하는 것이 좋다. 1000원 이하의 종목군들 말이다. 기관이나 외인들이 건들지 않는 저가주의 경우에는 작전이 아닌 이상 크게 상승하기가 어렵다. 반면에 경제상황에 따라 크게 흔들릴 가능성이 높으며, 이럴 경우 쉽게 부실주가 될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되면 당연히 투자시에 큰 낭패를 볼 수 있으며 소탐대실할 가능성이 높다. 


투자금액이 소액이고, 지속적으로 투자를 할 의사가 있다면 차라리 적립식 펀드에 가입하시는 것이 장기적으로 봐서 더 유리하다고 하겠다. 


by 칼럼니스트 자유투자자, http://freeinvestor.tistory.com


* 외부 칼럼은 본지의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저작권자 ⓒ 스탁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